西川馬孟起(서천마맹기) : 서천의 마맹기(마초의 자)는
名譽震關中(명예진관중) : 명성이 관중에 떨치었는데
信布齊誇勇(신포제과용) : 한신, 영포와 같이 자랑할만큼 용맹하고
關張可竝雄(관장가병웅) : 관우, 장비와 나란히 할 수 있는 영웅이네.
마초는 자신의 힘에 의지해 달려들어 조공을 붙잡으려 은밀히 꾀했으나 조공 좌우의 장수 허저가 눈을 부릅뜨고 노려보았고 이에 마초는 감히 실행하지 못했다. - 마초전
익주를 손에 넣은 마초는 평서장군 독임저(형주 남군 임저현)에 봉해졌다. 허나 마초는 한때 유비보다 더 큰 세력을 과시했던 관중군벌들의 수장으로 조조와 자웅을 겨뤘던 당대의 군웅의 한 사람이었다. 게다가 서북 지방에서 그가 가지는 엄청난 위명이 북벌에 미칠 플러스 효과도 고려해야 했으니 부하라기보단 객장에 가까웠고 여느 장수들처럼 대할 수는 없었다.
황충을 후장군으로 임명하니 제갈량이 설득하여 말했다. "황충의 명망은 본래 관우, 마초와 대등하지 않았는데 이제 곧바로 동렬에 두려 하십니다. - 황충전
다음 기록을 통해 마초가 유비군 내에서 관우만은 못해도 장비나 황충보다는 높은 대우(능력의 우열이 아닌 위상의 차이)를 받았던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어찌보면 이때 마초의 위치는 서주 시절에 유비에게 의탁했던 여포와 비슷한 입장이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마초는 융족(서쪽 이민족)과 용력에 의지해 일족을 망쳤으니 애석하구나! - 진수
마초는 한신과 영포의 용맹을 갖고 있고, 강족과 호족의 민심을 매우 많이 얻었으므로 서주사람들은 그를 두려워하고 있습니다. - 양부전
맹기는 문무를 겸비하고 굳세고 맹렬함이 남보다 뛰어난 일세의 호걸로 영포, 팽월과 같은 무리입니다. 응당 익덕과 말머리를 나란히 해 선두를 다툴만 합니다. - 관우전
조공이 말했다. "마초 저 아이가 죽지 않는다면 내가 죽어 묻힐 땅이 없겠구나!" - 산양공재기
서로의 이해관계가 다른 막강한 서북의 군벌들을 규합하여 구심점이 되고 조조와도 자웅을 겨뤄 일시적이나마 조조를 위기로 몰아붙여 당대의 호걸로 여겨졌다. 그러나 결국 패망했고 일족을 몰락시키고 이민족과 결탁한 전력 때문에 전체적으로 인식되는 이미지는 매우 부정적이다.
마등은 208년에 이미 중앙에 입조한 상태였고 마초가 봉기한 것이 211년, 원정에서 돌아온 조조가 마등을 죽인 것이 212년이다. 즉 마초는 아버지가 적의 손아귀에 인질로 있는 상태에서 적에게 싸움을 걸었다가 그 여파로 아버지를 죽게 한 것이다. 이렇게 부친을 비롯한 일가친적을 죽음으로 내몬탓에 당대에 냉혈한, 패륜아로 회자되기도 했다. 물론 이에 대해선 하술하듯 반론의 여지가 있다.
더불어 생전 여러 차례 비참한 패배를 겪느라 아버지 뿐 아니라 가문 전체가 적들에게 도륙당해 거의 멸문 직전까지 몰리기도 했다. 마초의 일가는 기성에서 조구의 손에 몰살당했고, 유비에게 투항할 때 첩 동씨와 아들 마추를 데려가지 않았는데 후에 동씨는 염포에게 빼앗기고 아들은 장로의 손에 죽는다. 오늘날의 동아시아에서도 가문의 대가 끊기는 것은 큰 비극으로 여길 정도인데 당시의 가치관으로 볼 때 이런 상황을 야기한 마초에 대한 평은 좋지 못했다.
그러나 관서의 토착민과 이민족들 사이에서는 높은 명망을 얻고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조조에게 전멸에 가깝게 패하고도 금새 일어설 수 있었으며 그가 봉기하자 많은 세력들이 순식간에 호응한 것이 이를 반증한다. 또 장로에게서 탈출해 유비에게 귀순할 때도 저족의 영역을 경유했다는 점 역시 이를 반증한다. 양주에 기반을 가지고 있던 군벌의 수장 시절에는 당대의 절대강자 조조에게도 충분히 대적할 수 있었으나 연전연패의 몰락을 겪고 그 기반을 상실한 이후로는 두 번 다시 전성기의 위용을 보이지 못하게 됐다고 볼 수도 있다.
"마초는 아버지를 배신하고 군주를 배반하였으며 주(州)의 장수들을 죽였습니다." - 양부전
"너는 부친을 배반한 역적 놈이고, 군주를 살해한 흉악한 적이다. 천지가 어찌 너를 오래 살려두겠느냐?" - 양부전
"이처럼 자신의 가족을 사랑하지 않는 이가 어찌 남을 사랑하겠습니까?" - 전략
결과적으로 부친을 비롯한 일족을 죽음으로 몰고 갔다는 사유 때문에 당대에 패륜과 냉혈한의 상징으로 종종 운위되었다. 적들에게 아버지를 배신했다는 말을 듣는 것으로 보아 당대에 이미 그의 봉기를 비난하는 시각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적뿐만 아니라 마초에게 호의적이었던 장로는 마초를 높게 평가해 자신의 딸과 정략결혼을 시키려고 했으나 이런 일화들을 들어 반대하는 의견을 듣고는 생각을 바꿨다. 마초의 전처가 적에게 죽었는데 장로의 딸이라고 그런 일을 당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는 것.
마초의 반란은 조조에게 있어서도 꽤나 위협적이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분수를 건너는 조조를 습격하여 조조를 위기상황으로 몰아넣었는데 조조가 탄 배의 사공이 화살에 맞아 죽을 정도였으니 그 긴박함을 짐작할 수 있다. 무제기에도 마초 토벌에 관해 상당한 분량을 할애하고 있으며 이 전쟁을 통해 제후에 봉해진 자가 11명에 달했을 만큼 당시에도 큰 싸움으로 인식되었던 것 같다. 또한 이 전투로 조조군 전사자가 만 단위였다는 기록이 있는걸 보면 마초의 용맹이 무시못하고, 위용이 대단한 것을 알 수 있다.
유비가 후대하는 것을 보고 유비와 더불어 말하며 늘 유비의 자(현덕)를 부르니 관우가 노하여 그를 죽일 것을 청했다. 유비가 말했다. "다른 사람이 궁박해져 내게로 귀의해왔소. 그런데 경 등이 분노하여 내자를 불렀다 하여 죽이자 하니 천하사람들에게 무엇을 보이겠소! 장비가 말했다. "그렇다면 응당 예를 보여야지요." - 산양공재기
이 일화는 외부 세력의 관점에서 볼 때 당시 마초의 위상을 어느 정도 보여주고 있다. 마초가 유비의 객장이 되기는 했으나, 유비에게도 그리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위상이 높았다는 것, 객장이 되어서도 자를 함부로 불러댈 것이라 생각할 만큼 마초가 거칠고 패기있는 인간으로 여겨졌다는 것이다. 유비의 포용력 있는 이미지가 이미 존재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MBTI'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국지 인물] 곽가(INTP) (0) | 2021.02.01 |
---|---|
[삼국지 인물] 육손(ISFJ) (1) | 2021.02.01 |
[삼국지 인물] 장합(INFJ) (0) | 2021.02.01 |
[삼국지 인물] 장료(INTJ) (0) | 2021.02.01 |
[삼국지 인물] 여포(ISTP) (0) | 2021.02.01 |
[삼국지 인물] 유비(INFP) (0) | 2021.02.01 |
[삼국지 인물] 조운(ISTJ) (0) | 2021.02.01 |
[삼국지 인물] 장비(ESFP) (0) | 2021.02.01 |
댓글